비즈니스 정보 교육 플랫폼 엔터테인먼트 게임 기술 뉴스 재산세

에이치투, 중기부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 선정

2025-09-29 HaiPress

고온 기후용 플로우배터리로 글로벌 시장 공략

지난 9월 26일 바나듐 플로우 배터리(VFB) 전문기업 에이치투(대표 한신)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에 최종 선정되어 사업 협약을 체결하고 ‘고온 기후형 ESS 상용화 및 글로벌 시장 본격 개척’에 나선다.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함께 뒷받침하는 ‘최고 수준의 도전형 지원 프로그램’이다. 매년 치열한 경쟁을 거쳐 소수의 기업만이 선정되며,선정 기업은 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동시에 추진할 수 있도록 장기간 안정적 지원을 받는다.

에이치투가 이번에 도전하는 프로젝트는 ‘고온 기후 적합형 최고 출력밀도 VFB ESS’로 총 65억원 규모(정부출연 36억원,민간부담 9억원,벤처투자 20억원)의 사업비로 추진되며 소부장(소재·부품·장비)·에너지 특화 VC인 케이런벤처스가 투자자로 참여한다. 케이런벤처스는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에이치투에 대한 투자를 집행하면서 에이치투의 향후 성장성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중동·아프리카,미국 애리조나,호주 사막 등 고온 기후 특성으로 인해 기존 리튬 ESS의 상용화가 쉽지 않았던 시장을 정조준하여 △출력밀도 70% 향상 △냉각 소비전력 50% 절감 △극한 기후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전되는 신뢰성 확보를 목표로 한다. 실제로 하루평균 온도가 35℃ 수준인 사우디에서는 ESS 표면 온도가 64℃에 육박해,열폭주와 화재 위험으로 리튬 기반 ESS는 안정적 운용이 매우 어렵다. 이에 에이치투는 수계 전해질 기반 바나듐 플로우 배터리와 AI 제어 기술을 접목해 극한 조건에서도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진입 장벽이 높았던 지역’을 새로운 성장 시장으로 열어가겠다는 전략이다.

본 프로젝트에는 박사급 9명,석사급 14명 등 총 35명의 연구인력이 투입되며 주관기관인 에이치투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함께 추진한다.

사업 총괄책임자인 에이치투의 홍상욱 혁신센터장은 “이번 DCP 선정은 한국 플로우배터리 기술이 그동안 상용화의 문턱이 높았던 고온·사막 기후 지역까지 뻗어나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라며 “최고의 장주기 ESS 기술로 글로벌 수출시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에이치투는 이번 성과를 통해 단일 기업 차원을 넘어,향후 국내 300여 개 소재·부품사가 참여하는 바나듐 플로우 배터리 생태계 전체가 글로벌 장주기 ESS 시장에 본격 합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저작권2009-2020 경기도일보    연락주세요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