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HaiPress
양 기관,AHN과 연계한 오픈이노베이션 협력 모델 출범
스타트업 미국 병원 진출 지원 본격화…10월 10일까지 참여기업 모집 중
< 서울센터 이영근 대표이사와 서울바이오허브 김현우 단장이 지난 9월 19일 서울 용산 본사에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제공 :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대표이사 이영근,이하 서울센터)는 지난 9월 19일,서울바이오허브(단장 김현우)와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 및 국내 우수 창업기업 발굴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센터는 창업지원 및 사업화 노하우를 서울바이오허브는 바이오·의료 분야 전문성을 결합해 효과적인 글로벌 진출 통로를 마련하여 현지 시장 진출을 앞당길 전망이다. 두 기관은 또한 기술 기반 창업기업의 연구성과가 국내외 시장에서 실질적인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도 병행할 방침이다.
이러한 협력의 일환으로,양 기관은 올해부터 미국 동부 종합 헬스케어 시스템인 AHN(Allegheny Health Network)과의 협업을 통해 국내 유망 스타트업을 미국 병원 생태계와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
AHN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를 중심으로 Highmark Health(미국 내 최대 규모 비영리 통합 건강보험·의료 서비스 그룹 중 하나)가 인수한 약 14개 병원,진료소,전문 클리닉을 보유한 네트워크 그룹이다. UPMC(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와 함께 피츠버그 지역 대표 의료 네트워크로,임상 연구와 환자 중심 치료 및 혁신 의료기기 도입에 적극적이다.
한국의 주요 상급종합병원이 대형 의료 단지 중심의 ‘집적형’ 진료 체계를 운영하는 것과 달리,AHN은 지역 중심의 분산형 의료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내에서 환자의 이동과 치료가 연속적으로 이뤄진다. 예컨대,중증 환자가 종합병원에서 치료받은 뒤 지역 클리닉과 진료소로 연계돼 지속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다. 반대로 초기 증상은 동네 의원이나 전문 클리닉에서 진단받고 필요시 대형 병원으로 자연스럽게 트랜스퍼되는 구조다.
이러한 네트워크 기반 모델은 맞춤형 진료를 통해 예방 중심의 의료 서비스가 실현된다는 점에서 한국의 의료시스템과 차별점을 가진다. 진단,치료,재활,공공보건,웰니스까지 이어지는 ‘순환형 케어 체계’는 AHN이 추구하는 핵심 전략 중 하나로,디지털 헬스케어와 AI 기반 시스템이 전반에 적용돼 진료 효율성과 접근성을 동시에 높이고 있다.
특히 AHN은 ▲로봇 기반 임상·물류 시스템 ▲질환 예측 AI 알고리즘 ▲머신비전 진단 ▲보험자-제공자 연계 소프트웨어 등 혁신 기술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
양 기관이 공동 기획한 이 프로그램은 미국 현지 병원의 시장 수요와 진료 현장에 맞는 기술 검증(PoC),임상시험 연계 등 구체적 실행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참여 기업 모집은 오는 10월 10일까지 진행된다. AHN의 수요에 해당하여 선발된 기업들은 AHN의 오픈이노베이션 부서와의 협업을 통해 미국 병원 생태계와 직접 연결되는 실질적 사업화 기회를 얻게 된다.
서울바이오허브 김현우 단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미국 의료 현장을 혁신할 잠재력을 지닌 국내 바이오·헬스 스타트업들이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포춘코리아(Fortune Korea)가 최근 발표한 ‘미국 의료를 혁신할 40대 한국 스타트업’가운데 서울바이오허브 입주 기업 8곳이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이번 AHN 연계 사업은 시의적이고 전략적인 흐름 위에 놓여 있다는 분석이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 ▲우수 창업 기업 발굴 ▲기술 경쟁력 제고 ▲글로벌 실증 및 해외 진출 지원 연계 등 다섯 가지 주요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센터 이영근 대표이사는 “AHN 연계 프로그램은 한국의 디지털헬스 기술을 실제 병원에 적용해 보는 드문 기회를 제공한다”라며 “기술력은 있으나 시장 검증 기회가 부족한 스타트업에 매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국내 바이오·헬스 스타트업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