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정보 교육 플랫폼 엔터테인먼트 게임 기술 뉴스 재산세

‘RE:대금계좌 변경됐습니다’…거래처 메일 믿었다가 1200억 날렸다

2025-09-29 HaiPress

무역회사 노린 외환 무역사기 기승


5년간 1591건·피해액 9600만달러


금감원 “송금 전 계좌 재확인 필수”

[사진 출처=연합뉴스] 국내 무역회사를 노린 외환 무역사기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메일 해킹을 통한 송금 유도가 대부분인데,기업들은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무역사기로 인한 피해 규모는 총 1591건,약 9600만달러(약 1330억 원)에 달했다. 특히 지난해 피해액은 전년 대비 104% 급증했다.

피해 유형 중 이메일 해킹이 1518건(95.4%)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피해액도 약 9100만 달러(94.5%)에 달했다. 나머지 73건(4.6%)은 수수료 편취 등이었다. 피해 국가는 미국·영국·중국·홍콩이 약 60%를 차지했지만,최근에는 베트남,아랍에미리트,포르투갈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사기 유형을 보면 무역업체 간 이메일을 해킹한 뒤 거래처를 사칭해 ‘대금 지급 계좌가 변경됐다’는 허위 이메일을 보내고,이를 믿은 업체가 무역대금을 사기 계좌로 송금하게 만드는 수법이 많았다. 이 외에도 해외 수출입업자나 정부기관을 사칭해 국내 수출·수입업체에 중계 역할 등을 제안하고 입찰서류 구입비,인증비,공증비 등 각종 수수료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는 사례도 있었다.

금감원은 무역대금 송금 시 기존 계좌와 동일한지 반드시 확인하고,다를 경우 직접 거래처에 연락해 재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또 무역 알선이나 계약 중계 과정에서 수수료를 요구받을 경우,상대가 정당한 업체나 기관인지 확인한 뒤 송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기를 인지했을 때는 즉시 거래 은행에 지급정지 조치를 요청하고 코트라(무역투자24),경찰청에 신고해 피해를 줄여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요 은행들과 협의해 공통 예방대책을 마련해 4분기 중 적용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무역사기 피해 근절을 위해 금융권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무역사기 (의심) 발생 시 대응 요령[출처=금융감독원,KOTRA]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삼성에스디에스

018260,KOSPI

168,000

+ 3.90%

안랩

053800,

KOSDAQ

61,400

+ 2.50%

삼성에스디에스

현재가 168,000

+ 3.90%

09.29 10:35

삼성에스디에스는 IT 서비스와 솔루션,기업용 정보보안 및 클라우드 기반 IT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보안 컨설팅,네트워크 보안,이메일 보안 등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대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강점입니다.


최근 이메일 해킹을 통한 무역사기 피해가 급증하면서 기업의 정보보안 강화와 이메일 보안 시스템 도입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삼성에스디에스는 이메일 해킹,피싱 등 사이버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어 무역·금융업계의 보안 수요 증가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


사이버 범죄 증가,디지털 전환 가속화,정부의 정보보호 규제 강화 등 외부 환경 변화가 기업의 보안 투자 확대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삼성에스디에스는 안정적인 실적과 대형 고객 기반을 바탕으로 정보보안 사업을 확대해왔으며,글로벌 보안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안랩

현재가 61,400

+ 2.50%

09.29 10:35

안랩은 정보보안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기업용 이메일 보안,엔드포인트 보안,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보안 전문 기업입니다. 자체 개발한 보안 엔진과 인증받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군에 맞춤형 보안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메일 해킹을 통한 무역사기 사례는 기업용 이메일 보안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안랩은 이메일 보안 솔루션과 피싱 방지 시스템을 통해 기업의 이메일 해킹,스피어피싱 등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사이버 공격 증가,정부의 정보보호 강화 정책,기업의 디지털 업무환경 확산 등 외부 요인이 보안 시장 성장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안랩은 기술 개발과 시장 확대를 통해 정보보안 분야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저작권2009-2020 경기도일보    연락주세요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