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정보 교육 플랫폼 엔터테인먼트 게임 기술 뉴스 재산세

“코인 모른다고 가만있을 순”…매출 10조 네이버, 두나무 품은 이유는

2025-09-28 HaiPress

[네이버·두나무 빅픽처]


이,평소 “코인 잘모르지만


가만히 있으면 안돼” 언급


띠동갑 대학후배 송의장과


개발자 ‘성공 신화’ 공통점

네어버 [사진 = 뉴스1] 네어버는 토종 인터넷 기업 가운데 최초로 연매출 10조원을 넘은 국내 최대 플랫폼 기업이다. 그리고 업비트는 국내 1위이자 세계 5위의 거대 가상자산거래소다.

두 기업이 사실상 결합을 추진한다는 소식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다. 여기에는 “지금이라도 가상자산 시장에 뛰어들어야 한다”는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이사회 의장의 결단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사진 = 네이버] 28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이 의장은 최근 사석에서 “나는 코인(가상자산)은 잘 모르지만 가만히 있어선 안 될 것 같다”고 수차례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가총액 4조달러(약 5651조원) 규모로 커진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에 지금이라도 발을 내딛지 않는다면 네이버가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위기감을 토로한 셈이다. 그는 2018년 사내이사에서 물러난지 7년 만인 올해 3월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했다. 성장통에 시달리던 네이버의 재도약을 위해 온 힘을 쏟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동안 네이버 내부에서는 게임과 가상자산 사업이 ‘금기’로 여겨졌다. 사업성보다 사행성과 투기적 요소가 더 크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최근 스테이블코인이 급부상하면서 이 의장 입장은 180도 바뀌었다. 스테이블코인은 페이팔 같은 글로벌 간편결제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쓰이는 등 주요 결제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국내에서도 정부·여당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추진하면서 이제는 네이버가 선점해야 할 필수 아이템으로 변한 것이다.

업비트 애플리케이션 [사진 = 연합뉴스] 가상자산 사업 진출을 결심한 이 의장의 선택은 업계 선두 기업을 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이 의장은 대학 후배인 송치형 두나무 이사회 의장과 의기투합했다.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86학번과 98학번으로 학번 차이가 12년이나 나지만,두나무와 네이버가 펼칠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최근까지 수 차례 긴밀한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빅딜로 네이버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소버린 AI’ 전략을 위한 자금을 확보하는 동시에 ‘웹3’ 금융에 대한 확실한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 연간 1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에도 불구하고 규제 문턱에 직면했던 두나무는 사용자 3000만명을 가진 네이버페이,클라우드,검색,커뮤니티 등 방대한 ‘웹2’ 기반의 플랫폼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결합을 계기로 향후 송 의장이 네이버 이사회 또는 그룹사 경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NAVER

035420,KOSPI

256,500

+ 0.98%

NAVER

현재가 256,500

+ 0.98%

09.26 15:30

네이버는 검색,커머스,결제 등 다양한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최대 IT 기업으로,네이버페이 등 금융 플랫폼과 방대한 사용자 기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네이버는 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운영사인 두나무와의 결합을 추진하고 있으며,이는 네이버가 가상자산 및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을 본격적으로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번 결합을 통해 네이버는 기존의 웹2 기반 결제·쇼핑·커뮤니티 플랫폼에 업비트의 가상자산 거래 및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역량을 결합하여 디지털 금융 생태계 전반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전망입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저작권2009-2020 경기도일보    연락주세요 SiteMap